Linux

AWS 에서 NFS 설정

techapi 2025. 3. 9. 17:41
반응형

1. 서버로 사용할 인스턴스 생성

– Security Group 설정에서 Type All traiffic 선택 Source 172.31.0.0/16 입력

– 172.31.0.0/16 서버를 위치할 VPC 아이피 대역을 의미

* 개별로 포트 설정을 하고 싶으면 아래 포트를 TCP/UDP 모두 열어줌

2049, 111, 32769, 32803, 892, 875, 662

 

2. 서버로 사용할 인스턴스에 NFS 설치

# yum install nfs-utils nfs-utils-lib

 

3. /etc/sysconfig/nfs 파이을 열어 아래 항목의 주석을 풀어줌

# vi /etc/sysconfig/nfs

 

LOCKD_TCPPORT=32803

LOCKD_UDPPORT=32769

MOUNTD_PORT=892

RQUOTAD_PORT=875

STATD_PORT=662

STATD_OUTGOING_PORT=2020

 

주석을 푸는 항목들은 NFS 사용시 이용되는 포트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임.

– Security Group 설정에서 위에 설정한 포트와 2049, 111 열어도 문제 없음

 

4. /home/nfs 폴더 생성(공유할 폴더)

# mkdir /home/nfs

 

5. /etc/exports 공유폴더 설정

# vi /etc/exports

 

입력내용

/home/nfs 172.31.0.0/16(rw,sync,insecure,no_all_squash)

 

exportfs -ra

 

옵션 설명

ro : 읽기 전용으로 공유한다. (기본)

rw : 읽기/쓰기 모드로 공유한다.

root_squash : 클라이언트의 root 익명 사용자(nobody) 매핑한다. (기본)

no_root_squash : 클라이언트의 root 서버의 root 매핑한다.

all_squash : 모든 사용자를 익명 사용자(nobody) 매핑한다.

sync :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동기적 통신을 한다. (기본, 안전성 향상)

async :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비동기 통신을 한다. (속도 향상)

secure : 마운트 요청 포트를 1024 이하로 한다. (1024 이하 포트는 root 설정 가능, 기본)

insecure : 마운트 요청 1024 포트 이상도 허용한다.

noaccess : 엑세스 거부

no_all_squash : root 제외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들을 하나의 권한을 가지도록 설정한다.

설정관련 내용 참고 : http://linux.die.net/man/5/exports

 

6. 서비스 시작 동작 확인

# service rpcbind start

# service nfslock start (?)

# service nfs start

# rpcinfo -p localhost

 

—– 정상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 출력 —–

program vers proto port service

100000 4 tcp 111 portmapper

100000 3 tcp 111 portmapper

100000 2 tcp 111 portmapper

100000 4 udp 111 portmapper

100000 3 udp 111 portmapper

100000 2 udp 111 portmapper

100024 1 udp 662 status

100024 1 tcp 662 status

100005 1 udp 892 mountd

100005 1 tcp 892 mountd

100005 2 udp 892 mountd

100005 2 tcp 892 mountd

100005 3 udp 892 mountd

100005 3 tcp 892 mountd

100003 2 tcp 2049 nfs

100003 3 tcp 2049 nfs

100003 4 tcp 2049 nfs

100227 2 tcp 2049 nfs_acl

100227 3 tcp 2049 nfs_acl

100003 2 udp 2049 nfs

100003 3 udp 2049 nfs

100003 4 udp 2049 nfs

100227 2 udp 2049 nfs_acl

100227 3 udp 2049 nfs_acl

100021 1 udp 32769 nlockmgr

100021 3 udp 32769 nlockmgr

100021 4 udp 32769 nlockmgr

100021 1 tcp 32803 nlockmgr

100021 3 tcp 32803 nlockmgr

100021 4 tcp 32803 nlockmgr

 

7. 서비스 등록하기 (리부팅시에도 자동실행)

– chkconfig 통하여 아래 3가지 서비스의 2,3,4,5 on 되어 있는지 확인 없으면 아래 명령을 통하여 서비스를 하나씩 on 처리함

 

# chkconfig nfs on

# chkconfig nfslock on

# chkconfig rpcbind on

 

8. 클라이언트에 nfs 설치

# yum install nfs-utils nfs-utils-lib

 

9. 공유디렉토리 연결(매번 연결 설정 해줘야함)

# mount 172.31.3.63:/home/nfs_temp /home/munilive/public_html/data/temp

 

10. 공유디렉토리 영구 설정

서버리부팅해도 자동으로 연결함.

 

 

-----------  하단 부터는 클라이언트 -------------

# vi /etc/fstab

– 172.31.3.63:/home/nfs_temp /home/munilive/public_html/data/temp nfs hard 0 0

 

10.1.101.5:/data/NFS-IMAGE /data/NFS-IMAGE nfs defaults,_netdev,nofail,noexec 0 2

 

– NFS 서버 Public Domain CNAME 으로 연결해 놓으면 아이피가 아닌 도메인으로도 설정가능

ex) nfs.munilive.com:/home/nfs_temp /home/munilive/public_html/data/temp nfs hard 0 0

 

반응형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ptables 설정 (2/2)  (0) 2025.03.09
iptables 설정 (1/2)  (0) 2025.03.09
passwd 보안 - 정책  (0) 2025.03.09
passwd 보안 - 규칙  (0) 2025.03.09
passwd 보안 - 계정상태 보기  (0) 2025.03.09